2018년 1월 10일 수요일

Spring @Bean vs @Component

@Bean의 경우 개발자가 컨트롤할 수 없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Bean으로 등록하고 싶은 경우에 쓰인다. (외부 라이브러리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메서드를 만들고 해당 메서드에 @Bean을 선언하여 Bean으로 등록한다.)
개발자가 직접 컨트롤할 수 있는 클래스엔 @Component를 사용한다.

@Bean
@Scope("prototype")
public SomeService someService() {
    switch (state) {
    case 1:
        return new Impl1();
    case 2:
        return new Impl2();
    case 3:
        return new Impl3();
    default:
        return new Impl();
    }
}
위는 @Bean의 전형적인 사용 패턴이다. @Component로 대체할 수 없다. 좀 더 단순화 하면 @Bean은 반환되는 객체를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함이다. @Component는 사용자가 작성한, Component Scanning 되는 대상이다.

그리고 스프링이 제공하는 컨테이너를 통해서 관리되는 인스턴스를 모두 Bean이라 부를 수 있다. Bean은 기본적으로 싱글톤 scope를 가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Bean으로 지정된 클래스는 컨테이너에서 1개의 인스턴스로만 존재할 수 있다.

Bean

이름을 왜 'Bean'으로 지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Java Bean은 아래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직렬화 가능해야 한다. (Serializable)
2. 인자가 없는 기본 생성자를 갖고 있어야 한다.
3. 속성에 대해 'public' setter / getter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4. 인스턴스의 속성은 'private'로 지정되어 있어야 한다.

A JavaBean is a Java object that satisfies certain programming conventions:  
1.The JavaBean class must implement either Serializable or Externalizable
2.The JavaBean class must have a no-arg constructor
3.All JavaBean properties must have public setter and getter methods
4.All JavaBean instance variables should be private

스프링 프레임워크에는 이 외에도 다양한 Annotation이 존재한다.
@Controller: 스프링 MVC의 컨트롤러를 나타낸다. Spring 4+에선 REST 웹 서비스 용으로 @RestController가 추가로 제공된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Controller의 주-동작은 View를 반환하는 것이고 @RestController의 주-동작은 데이터를 반환하는 것이다. 물론 @Controller에서 View가 아니라 데이터 반환 목적으로 @ResponseBody를 선언해 사용할 수도 있다. @RestController에선 @ResponseBody를 붙이지 않아도 되고, 상태 코드를 위한 ResponseEntity 장치가 준비되어 있다. (http://doublesprogramming.tistory.com/105)
@Service: 서비스 클래스를 나타내나 기능면에선 @Component와 동일하다.
@Repository: 리포지터리 클래스를 나타낸다. 이 Annotation이 붙은 클래스 내에서 발생한 예외는 DataAccessException으로 교체된다.

Java Servlet이란?


A servlet is a java programming language class that is used to extend the capabilities of servers that host applications accessed by means of request-response programming model.

Java Servlet(이하 서블릿)은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사양을 의미한다. 즉 스펙이다.
비슷한 기술로는 CGI가 있는데 CGI는 요청마다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응답하는 데 비해, 서블릿은 요청마다 프로세스보다 가벼운 스레드로 응답하므로 보다 가볍다.

서블릿엔 'main'과 같은 진입점이 없다. (~let으로 끝나는 형태의 프로그램은 자체적인 실행파일구조를 가진게 아니라 다른 환경에 의해 실행되어지는 단위로 유추 가능하다.) 이러한 서블릿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Tomcat이나 Jetty와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필요하다. 따라서 서블릿이 올바르게 동작하려면 서블릿 컨테이너에게 구체적인 동작 정보를 알려주어야 하고 이러한 정보는 web.xml 파일에 기술된다.

web.xml에 기술되어야 하는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서블릿 3.0 부터는 WebApplicationInitializer을 통해 설정을 자바 코드에서 할 수도 있고, 아예 없앨 수도 있다.)
- 특정 외부 요청에 대해 어떤 서블릿이 응답할 것인지. (servlet mapping)
- 특정 외부 요청에 대해 어떤 필터가 반응할 것인지. (filters)
- 웹 애플리케이션 내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어떤 클래스에게 통지해야 하는지. (listeners)
- 웹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파라미터 (context-params), 보안 관련 설정 등..

서블릿 컨테이너는 초기 구동시에 사용자가 작성한 web.xml을 읽어 서블릿을 생성해주고 클라이언트의 Request를 받고, Response를 보낼 수 있게 통신을 해준다. (소켓을 만들고, Request / Response에 대한 스트림 처리등의 수고를 서블릿 컨테이너가 대신 수행해주는 것이다.) 서블릿의 생명주기 또한 서블릿 컨테이너가 관리해준다.

+ JSP vs Servlet
JSP가 HTML 문서 안에 Java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서블릿은 자바 코드 안에 HTML을 포함하고 있다. 그렇지만 결과적으로론 JSP를 컴파일 하면 서블릿으로 변환된다.

+ Spring과 Servlet
스프링과 서블릿 간에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스프링은 '의존성 주입'이라는 디자인 패턴을 구현해놓은 자바 프레임워크이다. 단지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서블릿 기반 MVC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구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2018년 1월 4일 목요일

Jetty 사용하기.

자바 기반의 웹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해선 Tomcat이나 Jetty 같은 WAS(서블릿 컨테이너)를 선정해야 한다. Tomcat을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Jetty도 나름의 장점이 있다.
Jetty는 다른 WAS에 비해 가볍고 설정이 쉬우며, 사용자가 원하면 Jetty의 HTTP 모듈을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넣어 구동시킬 수도 있다.
(Jetty엔 'Don't deploy your application in Jetty, deploy Jetty in your application! 이라는 슬로건이 있다.)

Jetty를 설치하는 방법부터 사용 방법까지 간단히 알아보기로 하자.

Jetty는 아래 url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http://www.eclipse.org/jetty/download.html

Jetty의 설정과 관련된 내용이 궁금하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되는데, 굳이 설정을 변경할 일은 크게 없어 보인다.
http://www.eclipse.org/jetty/documentation/current/

Jetty를 설치하면,
Jetty XML 설정 파일이 위치하는 etc/ 폴더가 있고,
start.ini
start.jar
webapps/ 폴더가 생성된다.

start.jar를 실행시키면 Jetty가 실행되는 구조인데, 배포하려는 war 파일을 webapps 폴더에 넣어주면 된다. 만약 파일명이 abc.war이면 이 servlet의 url은 /abc/...로 매핑된다는 점을 기억하자.

Jetty 실행 방법은 좀 전에 적혀있듯이 그냥 start.jar를 실행시켜주면 된다.
java -jar start.jar 명령어와 함께 실행 옵션을 같이 부여할 수 있다.

Jetty를 종료할 땐 Jetty를 구동한 콘솔에서 Ctrl + C를 누르면 되고,
실행 콘솔과 종료 콘솔이 다른 경우엔 STOP.PORT, STOP.KEY 시스템 프로퍼티를 이용해서 Jetty를 켜고 끄면 된다.

+ Spring boot에선 기본 WAS가 Tomcat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Jetty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을 변경해주면 된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web</artifactId>
<exclusions>
<exclusion>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tomcat</artifactId>
</exclusion>
</exclusions>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jetty</artifactId>
</dependency>

Gradle 설정은 아래 링크의 73.11 Use Jetty instead of Tomcat을 참고하면 된다.